-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
공학,기술계열
-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작업설계 13주차 강의내용
-
작업설계 13주차 강의내용.hwp
-
등록인 munsj720
-
등록/수정일 23.11.16 / 23.11.16
-
문서분량 15 페이지
-
다운로드 0
-
구매평가
판매가격
2,0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공과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작업설계" 13주차 강의내용 정리 파일입니다.
- 본문일부/목차
- 표준자료 : 작업 시간을 직접 측정하지 않고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료
유사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직접 측정하지 않고도 표준시간을 산정할 수 있음
표준자료를 작성하기 위해 새롭게 시간연구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대개는 이미 오랜 기간 동안 측정 및 누적된 표준시간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 서어블릭과 같은 기본동작 위주의 표준시간을 미시표준자료 또는 PTS 라고 함.
▪ 기본동작보다 큰 단위작업과 요소작업의 표준시간을 거시 표준자료라고 함.
▪ 작업시간이 일정하지 않은 변수 요소작업은 변동 요인에 따른 표준시간 계산 & 표준자료 작성
▪ [상수 요소작업]은 표 형태로, [변수 요소작업]은 표, 그림, 공식 등의 형태로 표준자료를 정리하는 것이 좋으며, 표준자료의 사용지침서와 한계, 표준시간 원시자료 등도 함께 보관
PTS
▪ PTS는 오랜 기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본동작의 소요시간을 정리한 표준자료
▪ 인간이 취할 수 있는 기본적인 동작을 몇 가지로 구분하고 동작마다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정해놓은 것
▪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동작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면 스톱워치로 직접 측정하지 않아도 요소동작의 소요시간을 PTS에서 찾아 그 소요시간의 합으로 작업의 표준시간을 결정가능
<국내에 도입되어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 PTS>
– WF(work factor)
– MTM(methods-time measurement)
– MOST(Maynard operation sequence technique)
– MODA PTS(modular arrangement of predetermined time standards)
PTS는 길브레스 부부가 개발한 서어블릭에서 시작
1924년 MTA가 개발된 이래 각 PTS 계열마다 발전을 거듭함
▪ 제1세대(DWF와 MTM-1)
– 기본동작과 작업조건을 세분화하여 정확도는 높지만 사용이 복잡하여 작업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중략
- 연관검색어
-
#명지대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