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페이지 미만은 미리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판매가격
7,0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기타 궁금한 사항들
문답 형식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문1) 맞벌이를 하다 보니 할수 없이 많은 시간을 시부모님, 친정부모님, 1인 보육교사 또는 놀이방등의 육아시설에 맞기는데 이럴 경우 아이의 애착 형성에 지장이 있지 않을까요?
답1)
초기 타인양육이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안정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두 가지 모델로 설명될 수 있다(Jaeger & Weinraub, 199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첫 번째 유형은 타인양육이 영아에게 모성 격리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초점을 맟춘 것으로 모성 격리 모델 (maternal separation model)이다. 두 번째 유형은 어머니의 취업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차례로 영아 발달에 영향을 미친 다는 주장으로 양육의 질 모델(quality of mothering model)이다.
격리 및 타인양육 특성과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타인양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생후 초기부터 시작되는 어머니로부터의 격리 경험 및 타인양육 경험이 영아와 어머니간의 애착 관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Bowlby(1973)는 생후 3년 이내에 어머니가 아닌 다른 사람에 의해서 돌보아지는 초기 격리 경험은 어머니에 대해 접근하기 어려운 존재라는 내적 표상을 갖게 되며, 또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한 어머니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의심을 갖게 되어 결국 어머니를 불신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출생 초기부터의 장시간 타인 양육 경험은 영아와 부모 간 애착 형성에 위험 요인이라고 주장하는 연구들이 있다(Belsky, 1986, 1988,; Belsky & Rovine, 1988; Egeland & Hiester, 1995; Lamb, Sternberg, & Prodromidis, 1992). 반면, 이와 상반된 주장도 상당 수 있어서 타인양육의 질적 수준만 우수하다면 타인양육 경험 때문에 심리적 손상을 입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Chase- Landale & Owen, 1987; Phillips, Mccartney, Scarr, & Howes, 1987)와 타인양육 경험이 아동 및 가족특성과의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다(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 본문일부/목차
- 기타 궁금한 사항들
문답 형식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문1) 맞벌이를 하다 보니 할수 없이 많은 시간을 시부모님, 친정부모님, 1인 보육교사 또는 놀이방등의 육아시설에 맞기는데 이럴 경우 아이의 애착 형성에 지장이 있지 않을까요?
답1)
초기 타인양육이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안정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두 가지 모델로 설명될 수 있다(Jaeger & Weinraub, 199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첫 번째 유형은 타인양육이 영아에게 모성 격리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초점을 맟춘 것으로 모성 격리 모델 (maternal separation model)이다. 두 번째 유형은 어머니의 취업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차례로 영아 발달에 영향을 미친 다는 주장으로 양육의 질 모델(quality of mothering model)이다.
격리 및 타인양육 특성과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타인양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생후 초기부터 시작되는 어머니로부터의 격리 경험 및 타인양육 경험이 영아와 어머니간의 애착 관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Bowlby(1973)는 생후 3년 이내에 어머니가 아닌 다른 사람에 의해서 돌보아지는 초기 격리 경험은 어머니에 대해 접근하기 어려운 존재라는 내적 표상을 갖게 되며, 또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한 어머니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의심을 갖게 되어 결국 어머니를 불신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출생 초기부터의 장시간 타인 양육 경험은 영아와 부모 간 애착 형성에 위험 요인이라고 주장하는 연구들이 있다(Belsky, 1986, 1988,; Belsky & Rovine, 1988; Egeland & Hiester, 1995; Lamb, Sternberg, & Prodromidis, 1992). 반면, 이와 상반된 주장도 상당 수 있어서 타인양육의 질적 수준만 우수하다면 타인양육 경험 때문에 심리적 손상을 입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Chase- Landale & Owen, 1987; Phillips, Mccartney, Scarr, & Howes, 1987)와 타인양육 경험이 아동 및 가족특성과의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다(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 연관검색어
-
#타인양육이 영아의 어머니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