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보기는
3 페이지 까지 제공됩니다.
-
-
사회과학계열
-
[국어국문] 이상 시 연구
-
이상의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hwp
-
등록인 cjw1589
-
등록/수정일 09.01.09 / 09.01.09
-
문서분량 13 페이지
-
다운로드 4
-
구매평가
판매가격
1,500원
- 같은분야 연관자료
-
- 보고서설명
- 이상 시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본문일부/목차
- ▶ 이 상 ( 李 箱 : 1910~1937 )
■ 작품 ■
오감도(烏瞰圖)
<연구1> 불안하고 절망적인 현실의 반어적 표현
<연구2> ‘말하다(說)’와 ‘그리다(圖)의 거리
<발표조 해석> 정신분석학적 접근
▶토론 주제
거 울
<연구 1> - 자아의 분열과 자의식
<연구 2> - 거울이 가지는 이중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발표조 해석> - 짜여진 해석을 벗어나서...
▶토론 주제
제15호(時第十五號)
<연구 1> - 이승훈의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2> - 자아분열의 표출로서의 이중 인칭
<발표조 해석> - 이상의 20C 지향의식과 관련하여
※ 「시제1호」의 정신분석학적 해석과 관련하여
▶토론 주제
<전체 토론주제>
<참고문헌>
▶ 이 상 ( 李 箱 : 1910~1937 )
본명은 김해경. 본관은 강릉. 1910년 9월 23일 아버지 김연창과 어머니 박세창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큰아버지 집에서 할아버지의 엄격한 유교 교육을 받았다. 1921년 신명학교를 졸업하고 보성학교에 입학하여 교내 미술전람회에서 유화〈풍경〉으로 우수상을 받았으며, 1927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에 입학해 문예지 《난파선》의 편집을 맡았다. 그 후에도 조선건축회지 표지도안 모집에서 〈조선과 건축〉이란 제목의 도안이 당선됐으며, 1933년 폐결핵으로 총독부 내무국 건축기사를 그만두고 종로에서 다방 ‘제비’를 개업했다. 그 후 ‘구인회’ 동인에 가입하여 작품활동을 하며 동인지 《시와 소설》1집을 제작했다.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사상불온혐의로 1937년 구속되었다. 이로 인해 신병이 악화돼 4월 17일 동경제대 부속병원에서 사망했다.
이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초현실주의 시인으로 억압된 자의식과 좌절된 욕구를 현실탈출이라는 시적 주제로 표출하여 정신의 해방을 추구함으로써 무력한 자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 작품 ■
소설 〈휴업과 사정〉(1931) 〈지도의 암실〉(1932) 〈날개〉(1936) 〈봉별기〉(1936) 〈실화〉(1939) 시집《이상전집》(1956) 《이상시 전집 제13의 아해도 위독하오》(1982) 시 〈거울〉(1933) 〈꽃나무〉(1933) 〈지팽이 역사〉(1934) 〈오감도〉(1934) 〈지주회시〉(1936) 수필 〈권태〉(1937) 〈산촌여정〉(1935)
*권영진(1993). 한국현대시 해설. 서울: 숭실대학교 출판부
연구1> 불안하고 절망적인 현실의 반어적 표현
위의 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시는 좌우대칭, 혹은 전후대칭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좌우대칭이 외부구조로 나타난다면, 내부는 병렬과 대립의 구조로 드러난다. 대표기법은 반어인데, 2행에서 화자는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오>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시행은 27행의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와 구조적으로 대립된다.
- 연관검색어
-
#이상
- 보상규정 및 환불정책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